송중기, 케이티의 국제결혼으로 다문화가족혜택에 대해 사람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그리고 여성가족부는 2023년 다문화 아동·청소년 맞춤형 지원을 강화한다고 합니다. 지금부터 다문화가정혜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다문화가족
다문화 가족이란 결혼 이민자 또는 귀화 허가를 받은 자와 대한민국 국적자로 이루어진 가족을 말합니다.
다문화가정은 국제결혼 가정, 혼혈아처럼 차별적이고 부정적인 이미지를 갖는 용어를 대체하기 위해 2003년 건강시민연대가 제안하여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습니다. 한국생활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신 분들은 아래 사이트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한국생활안내 (https://krguide.kr/KOR/main.do)
한국생활안내
한국생활안내가 여러분의 안정적인 한국생활 정착을 도와 드립니다. 9가지 주요 영역별 한국생활안내 한국생활안내 홈페이지에 대한 개선사항, 정보 수정요청 등 소중한 의견을 접수중입니다.
krguide.kr
다문화가족혜택
1. 주택지원 및 저금리 대출
다문화가족 주택 특별공급은 다문화가족의 주택마련 지원을 위해 일반인과 청약경쟁 없이 주택을 우선분양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그리고 결혼자금, 자녀학자금, 의료비, 임금체불생계비, 부모요양비, 임금감소생계비 등을 목적으로 저금리로 장기간 대출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신청자격으로는 다문화가족의 구성원으로 배우자와 3년 이상 같은 주소지에 거주하고 있어야 하며 청약자 본인뿐 아니라 세대구성원 전부가 무주택자여야 합니다. 그리고 청약통장에 가입하여 6개월이 경과되고 매월 약정납입일에 월납임금을 6회 이상 납입하고 있어야 합니다.
이번에 신협에서 '더불어 사회 나눔 지원대출'과 '신협 다드림 적금'을 출시했습니다. 이 상품들은 자녀가 있는 다문화가구를 위한 저금리 대출과 고금리 적금 상품입니다. '더불어 사회 나눔 지원 대출'은 연 2% 금리의 신용대출 상품입니다. '신협 다드림 적금'은 기본금리 연 3.5%에 우대금리 3.5% 포인트를 더해 최고 연 7%의 이자를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신청방법
청약하고자 하는 주택의 입주자모집 일정에 맞추어 해당 사업주체에 신청해야 합니다. 입주자모집공문은 일간신문, 관할 지자체(시·군·구) 홈페이지, 한국부동산원 등을 통해 확인합니다.
2. 임신·출산서비스
건강한 생활을 위해 영양·건강에 대한교육, 산전·산후 도우미 파견 및 건강검진 등의 의료서비스를 지원받을 수 있으며 의료서비스를 지원받을 경우에 외국어 통역서비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다문화 가족지원 사이트
다누리 | 복지로 | 여성가족부 |
이주민 방송 | 다문화교육포털 | 이주배경청소년지원재단 |
한국외국인노동자지원센터 | 두리안EBS | 찾기쉬운생활법령정보 |
3. 자녀교육
유치원 및 어린이집
다문화 가족의 자녀 중 영유아를(매년 1월 1일 현재 만 3세 이상인 영유아 어린이집에서 공통과정을 제공받는 경우, 매년 1월 1일 현재 만 3세 미만인 영유아 어린이집에서 보육과정을 제공받는 경우) 대상으로 무상교육을 실시합니다.
경쟁이 매우 치열한 국공립 어린이집이나 초등학교 부설 병설유치원 지원 시 우선순위가 주어집니다. 보육료는 보육시간 및 아이의 연령, 보육시설의 종류에 따라 다릅니다. 보육료는 보호자의 소득과 상관없이 지원합니다. 보육료 외 학부모가 부담하는 필요경비를 지원하는 아동 입학준비금을 지원합니다.
한국어학급(찾아가는 한국어교육)
한국어학급으로 지정된 초·중·고등학교에서는 중도입국자녀 등 학생의 한국어능력이 부족한 경우를 위하여 한국어학급을 개설하여 한국어와 한국문화 교육을 지원합니다. 전국 195개 학교(2018년 기준)에서 한국어학급을 운영하고 있으며, 자녀가 다니는 학교에서 한국어학급으르 운영하지 않을 경우 '찾아가는 한국어교육'을 통해 한국어교육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시·도교육청 또는 다문화교육포털에 접속하면 지역별로 한국어학급을 운영하는 다문화 교육지원센터 기관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중언어교육
이중언어 학습을 장려하기 위하여 이중언어교재를 개발하여 보급하고 있으며, 매년 '이중언어말하기 대회'를 개최합니다. 에듀넷(https://www.edunet.net/nedu) 또는 다문화교육포털에 접속하여 이중언어교재 '엄마아빠와 함께 배우는 ○○어(베트남어, 중국어, 일본어, 러시아어, 필리핀어, 영어, 인도네시아어, 태국어, 캄보디아어, 몽골어 등 10개 언어)'등을 내려받을 수 있습니다.
다문화학생 대학생 멘토링
대학생과 1대 1 매칭하여 학교적응과 기초학습을 지원합니다. 대학생 멘토가 멘티 다문화학생이 재학 중인 학교를 방문하여 방과 후 또는 방학 동안 학습을 도와주고 주당 20시간(방학 중에는 주당 40시간) 정도 멘토링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학교 또는 지역아동센터를 통해 신청하여 참여할 수 있습니다.
다문화 대안학교
학업을 중단하거나 개인적 특성에 맞는 교육을 원하는 다문화학생을 위한 학력인정 대안학교가 운영되고 있습니다. 교육비가 무료 또는 유료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학교홈페이지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지구촌학교(서울 구로구) : https://globalsarang.sen.sc.kr
●서울 다솜관광고등학교(구 서울다솜학교, 서울 종로구) : https://sds.sen.hs.kr
●한국폴리텍 다솜고등학교(충북 제천) : https://www.kopo.ac.kr/dasom
●인천한누리학교(인천 남동구): http://hannuri.icesc.kr
●해밀학교(강원도 홍천군): https://haemillschool.gwe.ms.kr/
외국인학교
외국인의 자녀와 외국에서 3년 이상 거주 후 귀국한 내국인 및 한국어 능력 부족 등으로 일반학교에서 학업을 지속하기 어려운 귀화자의 자녀의 교육을 위한 기관입니다.
외국교육기관 및 외국인학교 종합안내 홈페이지(https://www.isi.go.kr)에서 각 학교별 입학절차, 학비 등 자세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다문화 가족지원 사이트 다누리 및 복지로, 여성가족부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